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26일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를 위한 한국노총 전국단위노조대표자 및 간부 결의대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계속고용 등과 관련한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이어가지 않기로 했다.
다만 관련 회의에는 다시 참여해 그동안의 논의를 정리하는 작업을 할 예정이다.
한국노총은 10일 상임집행위원회를 열고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계속고용위원회 및 일생활균형위원회 등에 대한 참여 종료 의사를 전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그동안 노동계에서 유일하게 노사정 사회적 대화에 참여해왔으나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전면 불참을 선언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어차피 입장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합의는 어렵다"며 "일단 회의에는 참여할 것이나, 더 이상의 논의는 의미가 없다는 의사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경사노위가 이달 말까지 최종안을 내놓기로 한 계속고용 의제의 결론은 공익위원 안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노총은 새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새로운 논의 또한 보류하기로 했다.
다만 기존에 진행하던 연구회나 토론회 등에는 계속 참여할 예정이다.
한국노총의 이런 결정으로 정년연장 논의 주체는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일 발족한 '회복과 성장을 위한 정년 연장 TF'로 넘어가게 됐다.
TF는 양대 노총이 모두 참여하고 있으며, 근로자 법정 정년을 현행 60세보다 늘리는 법 개정을 추진한다.
이해관계자 간 논의를 거쳐 올해 9월 노사 공동 입법안을 발표하고 11월까지 입법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