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아차 광주공장 전경. /사진=기아차

제보팀장 류승우 기자 |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또 다시 안전사고로 직원이 사망하면서 공장이 전면 가동 중단됐다. 이번 사고로 하루 400대 생산하던 3공장이 멈춰섰고, 노동 당국과 경찰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기아는 뒤늦게 “전면 재발 방지책”을 약속했지만, ‘사고 이후에야 대책’이 반복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기아 오토랜드 광주에서 정규직 노동자가 기계 설비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공장 전체가 가동을 멈췄다. 이로 인해 하루 평균 1t 화물차 400여대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3공장은 프레스·도장·조립 전 공정을 포함한 주요 생산시설로, 정규직 1천여명이 근무하던 곳이다.

지난 16일 발생한 이 사고로, 기계에 끼인 40대 직원 A씨가 현장에서 숨졌고, 노동 당국은 일부 공정의 작업 중지를 곧바로 명령했다. 주말과 휴일에는 생산이 없었지만, 19일부터 조업이 재개될 예정이던 일정은 전면 중단됐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가능성…기아, 책임 회피 아닌 철저 조사 강조
경찰과 노동 당국은 사고 경위와 함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해당 법은 안전조치 의무를 소홀히 한 기업의 경영진을 형사처벌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기아 측 최고안전책임자(CSO)를 비롯한 관계자들에 대한 법적 책임 여부도 수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기아 측은 “생산 차질보다 재발 방지책이 먼저”라며,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전방위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공장 직원 1천여명도 사고 이후 자택 대기 중이다.

"현장 안전, 뼈저리게 느껴"…기아의 뒤늦은 반성
기아의 최고안전책임자(CSO)인 최준영 사장은 입장문을 통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현장 안전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다”고 밝혔다. 그는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안전 시스템 재점검을 통해 다시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노동계 일각에서는 “기아가 사고가 터질 때마다 뒤늦게 안전강화를 외치고 있다”며 “사후약방문식 대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