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Chat GPT 작성)

2025년 4월 16일, 한국 증시는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 속에 하락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21% 내린 2,447.43에 거래를 마쳤고, 코스닥 지수는 1.80% 하락한 688.11을 기록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대형주와 중소형주 전반에 걸쳐 낙폭이 확대되며 시장 전반에 조정 흐름이 나타났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4천억 원, 코스닥 7조 2천억 원으로 전일 대비 소폭 감소했으며, 시가총액은 각각 1,989조 원과 352조 원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지수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증시 역시 약세를 면치 못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73% 하락한 39,669.39포인트를 기록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무려 3.07% 급락한 16,307.16포인트로 마감되었다. 미국의 경제지표 부진과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

NZSI INDEX 종목 구성 및 변동률

NZSI INDEX 또한 0.91% 하락한 927.17포인트로 마감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수 도입 이후 흐름을 보면, 한국 시장에 편입된 6개 종목은 평균 0.05% 상승했지만, 글로벌 증시에 포함된 14개 종목은 평균 10.42% 하락하며 글로벌 시장의 부진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글로벌 빅테크 및 성장주 중심의 급락 흐름이 지수에 강하게 반영되며, 한국 시장의 방어적 성격이 비교적 선방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오늘은 기술특례상장에 대해 간단히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기술'이라는 이름 아래 증발하는 미래…

기술특례상장은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 당장의 수익성 부족에도 불구하고 상장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허용한 제도다. 본래 취지는 혁신기업 육성에 있었지만, 최근 코스닥 시장에서는 이 제도가 오히려 시장의 건전성을 해치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로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상당수가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연 매출 30억 원조차 달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는 매출 '0원'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2024년 현재 매출 유예기간이 종료된 13개 기술특례상장사 중 다수는 이미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었거나 상장폐지 위기에 놓여 있다.

▷ '기술력'이 아닌 '상장용 기술'?

대부분의 기술특례상장 기업들은 상장 당시 구체적인 수익 없이 미래의 추정 실적을 근거로 고평가된 공모가를 책정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메드팩토다. 이 회사는 2019년 기술특례를 통해 상장하며 2021년 매출 741억 원, 순이익 429억 원을 달성하겠다고 공언했다. 당시 공모가는 4만 원, 이후 주가는 한때 11만 7천 원까지 급등했지만, 현재는 3,150원까지 추락했다.

메드팩토는 유전체 분석 기반의 신약개발을 핵심 사업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현실은 기대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김성진 대표는 최근 주주총회에서 신규 항암제 ‘MP010’의 기술이전 가능성과 임상 진입 계획을 강조했지만, 실적과 비교기업의 수준을 고려하면 그 발언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024년 말 기준 메드팩토 전체 직원 수는 57명으로, 연구직 29명 중 평균 근속연수는 3.1년에 불과하다. 이들의 평균 연봉은 5,100만 원 수준으로, 고급 인재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보기 어렵다. 전체 연간 인건비가 33억 원에 달하지만, 매출 실적은 거의 전무하다. 회사 측은 유전체 분석과 의약품 유통으로 매출 요건을 충족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분석 전문 기업으로서의 정체성과는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

메드팩토가 자신있게 언급한 ‘유전체 기반 신약개발’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영역이다. 미국의 리제네론은 연매출이 16조 원을 넘고, 자가개발한 유전자치료제와 항체 기반 의약품으로 FDA 승인만 10건이 넘는다. 스위스 기반의 크리스퍼 테라퓨틱스 역시 파트너사인 바이오엔텍(BioNTech), 버텍스( Vertex) 등과 함께 유전자 편집 기술(CRISPR-Cas9)을 활용한 혈액질환 치료에서 유럽 및 미국 승인 사례를 확보한 상태다.

이처럼 실질적인 영업활동과는 무관한 ‘상장용 기술’로 투자금을 유치한 뒤, 매출은 없고 손실만 확대되는 사례는 메드팩토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보로노이, 큐로셀, 샤페론, 바이젠셀, 에이비온 등 다수의 기술특례기업도 비슷한 양상으로 상장 이후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 '스토리텔링'으로 포장된 기술… 평가기관은 무사한가?

기술특례상장이 본래 목적을 벗어나 상장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상장 요건은 형식적으로 존재하지만, 기업들은 이를 맞추기 위해 기술의 자립도, 확장성, 시장성 등 총 35개의 항목에서 A·BBB 등급을 받아야 하는 평가 기준을 '컨설팅'을 통해 정비하고, 평가기관을 대상으로 스토리라인을 조작에 가깝게 브랜딩한다.

특히 평가기관은 기업이 제공한 정보와 정성적 판단을 바탕으로 등급을 산정하기 때문에, 실질적 기술력보다 서류상 설명력이 더 중요해지는 구조가 된다. 기술특례상장에 참여하는 일부 컨설팅 회사들은 아예 '모의평가'를 통해 평가기관을 설득하는 전략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평가기관과 주관 증권사, 그리고 상장기업 사이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히면서, 기술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은 심각하게 훼손된다. 결국 그 부담은 고스란히 투자자에게 전가된다.

▷ 투자자 피해는 반복되고, 책임자는 없다

상장 당시 투자자들은 '매출은 없지만 기술력은 있다'는 내러티브에 설득당하고, 공모주에 참여한다. 하지만 정작 이들 기업은 매출 없이 손실만 쌓아가며, 상장폐지 위험에 시달린다. 증권신고서에는 “매출액 유예기간 종료 후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가능성이 있다”고 고지했으나, 이는 단순 면피성 고지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런 구조가 수차례 반복됨에도 불구하고, 증권사나 평가기관은 단 한 번도 그 책임을 진 적이 없다는 것이다. 제도의 허점을 방조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구조가 오히려 자본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는 것이다.

▷ 이제는 증권사와 평가기관도 책임져야 할 때

기술특례상장은 더 이상 “성장 기회 제공”이라는 명분으로 면죄부를 줄 수 없다. 현재 제도는 스타트업 투자금을 공모주 형태로 ‘떠넘기는’ 출구전략의 도구로 악용되고 있으며, 기술이라는 단어로 미래 자본을 소모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특례상장을 주관한 증권사와 기술평가를 수행한 전문기관이, 상장 이후 일정 기간 내 매출을 발생시키지 못할 경우 연대책임을 지는 구조적 장치가 시급하다. 이는 단순한 투자자 보호 차원이 아닌, 자본시장 신뢰 회복의 최소한의 조치다.

▷ 기술이 아닌 자본이 사라지는 시장

지금 이 순간에도 수십 개 기술특례기업들이 기술력을 과장하거나 과대포장한 서류를 들고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아직 상장도 하지 않았지만, 이미 시장 신뢰를 갉아먹고 있다.

기술특례상장이 지금처럼 남용된다면 이는 더 이상 스타트업의 성장 사다리가 아니라, 한국 자본시장을 좀먹는 구조적 리스크로 자리 잡을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이 제도를 전면 재검토하고, 책임 구조를 개편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