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Chat GPT 생성)

2025년 2월 13일, 한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1.36% 상승한 2,583.17을 기록했고, 코스닥 지수는 0.55% 오른 749.28로 마무리됐다. 대형주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고, 중소형주도 점진적으로 반등하며 시장 분위기가 개선됐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4천억 원, 코스닥 7조 6천억 원으로 전일 대비 소폭 증가했다. 시가총액은 코스피 2,101조 원, 코스닥 373조 원을 유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증시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77% 상승한 44,711.43포인트, 나스닥 종합지수는 1.50% 상승한 19,945.64포인트로 마감됐다.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나스닥이 상대적으로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NZSI INDEX 종목 구성 및 변동률

한편, NZSI INDEX는 2.14% 상승한 1,099.30포인트로 마감하며 최근 강한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한국 시장에 편입된 8개 종목은 평균 8.18% 상승, 글로벌 증시에 포함된 12개 종목은 평균 10.54% 상승하며 글로벌 시장과 한국 시장 간 격차가 점차 좁혀지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시장에서는 한화가 전일에 이어 11.8% 급등하며 상승을 주도했다. 최근 지배구조 변화와 조선·방산·우주항공 부문의 성장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며 강한 매수세가 유입됐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인텔(INTC)이 전일 7.20% 상승에 이어 7.34% 추가 상승하며 시장을 견인했다.

한국 증시는 글로벌 증시와 보조를 맞추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외국인 투자자들의 수급 변화와 글로벌 경제 이슈에 따른 변동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파생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동향을 파악하며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오늘은 인텔(INTC)의 급등 배경에 대해 간단히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인텔은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중 하나로, 설계부터 제조, 테스트, 패키징까지 전 공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업이다. 약 52,800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대만 TSMC와의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주에만 주가가 약 30% 급등했지만, 여전히 지난 12개월간 40% 이상 하락한 상태다.

미국 투자은행에 따르면 인텔이 TSMC와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파트너십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TSMC는 엔지니어를 인텔의 파운드리 사업에 파견하고, 양사가 공동으로 소유하는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여 미국 정부의 '칩스법(CHIPS Act)'에 따른 자금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인공지능(AI) 칩을 국내에서 설계하고 제조하는 것을 우선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이루어졌다.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를 우대하는 정책은 미국 내에서 제3자용 칩을 생산하는 인텔의 파운드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인해 인텔은 다시 한번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 정부는 TSMC에 인텔과의 협력을 압박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강화하려는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