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Chat GPT 생성)
2025년 4월 4일, 한국 증시는 글로벌 증시의 충격 여파 속에서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0.86% 하락한 2,465.42, 반면 코스닥 지수는 0.57% 상승한 687.39를 기록하며 대형주 중심의 매도세와 중소형 성장주의 저가 매수세가 엇갈리는 모습을 나타냈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7천억 원, 코스닥 7조 4천억 원으로 전일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며, 시가총액은 코스피 2,004조 원, 코스닥 346조 원으로 축소되며 대형주 중심의 투자심리 위축이 반영되었다.
글로벌 증시는 전날에 이어 또 한 번의 급락세를 기록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5.50% 하락한 38,314.86포인트, 나스닥 종합지수는 5.82% 급락한 15,587.79포인트로 마감되며 투자심리가 급격히 냉각됐다. 특히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확대 발표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 우려가 불확실성을 키운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은 트럼프 정부의 정책 방향이 글로벌 교역 환경을 위축시키고 공급망 혼란을 재차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한 매도세가 쏟아졌다.
NZSI INDEX 종목 구성 및 변동률
NZSI INDEX 역시 3.49% 하락한 909.11포인트로 마감되며 아시아·태평양 신흥국 전반에 걸친 리스크 회피 심리가 뚜렷하게 반영됐다. 특히 원자재 및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투자 심리 위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상황이다.
이날 지수 도입 이후 한국 시장에 편입된 6개 종목은 평균 1.24% 하락, 반면 글로벌 증시에 포함된 14개 종목은 평균12.45% 하락하며 양 시장 간의 하락 폭 차이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이는 글로벌 시장이 보다 직접적인 정치·무역 변수에 반응한 데 반해, 한국 시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낙폭으로 방어적인 성격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현재 글로벌 금융시장은 트럼프발 통상 쇼크와 미 연준의 금리정책 불확실성, 글로벌 기업들의 실적 눈높이 하향 조정 등이 맞물리며 급격한 조정 압력을 받고 있다. 한국 증시 역시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가운데, 중장기적으로 수출주 실적 타격과 외국인 자금 이탈 여부가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개별 기업 실적과 환율 변동성, 정부의 정책 대응 기조에 따라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들은 현재의 급변하는 글로벌 변수에 유의하며 현금 비중 확대, 방어주 중심의 재편성, 공매도에 의한 기술적 반등 구간에서의 차익실현 전략 등 리스크 관리를 동반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오늘은 정치테마주의 문제점에 대해 간단히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올해 들어 국내 증시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종목들이 모두 정치테마주라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평화홀딩스, 형지글로벌, 형지I&C 등은 그 기업의 실적이나 성장성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특정 정치인과의 느슨한 연결고리 하나만으로 주가가 수백 퍼센트씩 치솟았다.
이쯤 되면 정치테마주는 투자의 대상이 아니라, 누군가의 설계로 움직이는 '주가조작의 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그 뒤에는 늘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수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있다.
주가는 결국 기업의 본질가치로 수렴한다는 자본시장의 기본 원칙은 정치테마주 앞에선 무력하다. 특정 정치인의 여론조사 결과나 재판 일정, 대선 구도 변화만으로 해당 종목은 급등하거나 급락한다. 더 기가 막힌 건, 어떤 정치인의 테마주가 상한가를 기록하는 동시에, 같은 정치인 관련 다른 테마주는 급락한다는 점이다. 이쯤 되면 시장 참여자 누구도 주가 흐름을 예측할 수 없으며, 논리나 분석은 통하지 않는 투기판이 된다.
이러한 상황을 두고 시장 원리 운운하며 방관하는 금융당국은 직무유기를 넘어 공범으로 보일 지경이다. 실제로 정치테마주가 급등한 뒤에야 ‘비상 시장점검회의’를 연다는 한국거래소의 대응은 너무 늦었고, 너무 형식적이다. 수년째 반복되는 테마주 광풍 앞에서 당국은 단 한 건의 실질적 주가조작 사건도 제대로 적발하거나 제재한 바 없다.
정치테마주를 이용한 주가조작이 현실화된다면 이는 단순한 시장 일탈이 아니라, 공공자산의 불법 편취에 가깝다. 이익을 본 극소수 세력 뒤에 무수히 많은 개인투자자의 피눈물이 존재한다.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정치테마주의 유혹은 더욱 강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누군가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정말 몰라서 방치하는 것인가, 알고도 외면하는 것인가.
금융당국은 지금이라도 '주가조작 단속'이라는 허울을 벗고, 실질적인 조사와 대응에 나서야 한다. 불공정거래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고, 고의적인 테마화 시도에 대해선 형사처벌을 포함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자본시장은 사익을 노리는 일부 세력의 놀이터가 아니다. 정치테마주의 방치는 단순한 투자자 보호 실패를 넘어, 국가경제의 신뢰 기반을 갉아먹는 심각한 문제다. 이 문제를 지금 바로 정면으로 다루지 않는다면, 그 책임은 고스란히 금융당국에게 돌아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