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한국 증시는 근로자의 날 휴장을 마치고 돌아온 첫 거래일을 소폭 상승세로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12% 오른 2,559.79, 코스닥 지수는 0.64% 상승한 721.86으로 장을 마쳤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원, 코스닥 7조 1천억 원으로 전일 대비 다소 줄어든 양상을 보였다. 이는 최근 출범한 넥스트레이드(NextTrade) 시장이 본격적으로 자금 유입을 분산시키며 기존 시장의 거래 파이가 나뉘는 구조적 영향에 따른 것으로, 당분간 거래대금 위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가총액은 코스피 2,079조 원, 코스닥 364조 원으로 각각 소폭 증가했다.
반면 글로벌 증시는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1.39% 상승한 41,317.43포인트, 나스닥 종합지수는 1.51% 오른 17,977.73포인트로 마감되며 주요 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NZSI INDEX는 0.86% 상승한 987.61포인트로 마감되며 다시 상승 전환했다. 지수 도입 이후의 흐름을 보면, 한국 시장에 편입된 6개 종목은 평균 6.09% 상승한 반면, 글로벌 증시에 포함된 14개 종목은 평균 4.38% 하락세를 보이며 여전히 한국 시장과 글로벌 시장 간 성과 격차는 뚜렷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오늘은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간단히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2025년 4월, SK텔레콤은 2,500만 명에 달하는 유심 정보 유출이라는 초유의 보안 사고를 맞았다. 단순한 해킹 사건으로 보기에는 국민의 분노가 너무 크다. 이 사태는 정보보안 사고가 아니라, 조직적 은폐 시도와 책임 회피로 인식되고 있다. 통신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자랑하던 SK텔레콤은 이제 ‘국민 신뢰도’라는 마지막 방어선마저 무너뜨리고 말았다.
SK텔레콤의 이번 사태에 대해 국민은 매우 분명한 입장을 드러냈다. 제보팀장의 의뢰로 리얼미터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7.4%는 이번 사고의 책임이 명백히 SK텔레콤에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모든 기업도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SK텔레콤의 주장을 받아들인 응답자는 고작 22.3%에 불과했다. 이는 ‘불가피한 사고’라는 기업 논리가 더 이상 통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국민은 이번 사태를 철저히 ‘기업의 과실’로 간주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사고 발생 이후의 대응 방식이다. SK텔레콤은 해킹 사실을 인지하고도 45시간이 지나서야 정부에 보고했다. 국민은 이 점에 더욱 분노했다. 응답자의 77%는 이 같은 ‘늑장 보고’에 대해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상참작의 여지가 있다는 응답은 14.5%에 불과했다. 사고보다 더 심각한 것은 바로 그 이후의 태도였다. 국민은 SK텔레콤이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SK텔레콤이 발표한 피해 규모 및 정보 항목에 대해서도 국민의 80.6%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7.6%, ‘신뢰하지 않는 편’이라는 응답이 33.0%로 나타났다. 반대로, 발표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16.7%에 그쳤다. 이는 SK텔레콤이 진실을 밝히기보다 이미지 회복에 몰두하고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음을 의미한다. 발표는 사실이 아니라 홍보였고, 사과는 반성이 아니라 계산된 연기라는 것이 국민의 인식이다.
보상안 역시 국민적 분노를 키웠다. SK텔레콤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에 한해 100% 피해 보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응답자의 72.8%가 ‘부족하다’고 평가했으며, 이 중 44.1%는 ‘매우 부족하다’고 답했다.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만 보상하겠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구조다. 기업이 저지른 과오에 대해 서비스 가입 여부로 보상의 기준을 삼는다는 것은 국민 입장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태도다. 피해보상은 기업의 자선이 아니라 법적·윤리적 책임이다. 하지만 SK텔레콤은 이를 마케팅 전략으로 변질시켰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됐다.
보안 사고의 근본 원인에 대한 질문에서도 국민은 기술 부족이 아니라 기업의 태도 문제를 지적했다. 응답자의 38.8%는 ‘약한 처벌 수위’를, 35.1%는 ‘불충분한 투자 및 안일한 대응’을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보안 기술 부족’을 꼽은 응답자는15.6%에 그쳤다. 이는 사고의 원인이 기술적 한계가 아닌, 기업의 관리소홀과 무책임한 조직문화, 그리고 정부의 솜방망이 처벌에 있다고 국민이 보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번 사고는 예견된 인재라는 것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91.3%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이 중 67.6%는 ‘매우 필요하다’, 23.6%는 ‘필요하다’고 답했다. 국민은 명확히 말하고 있다. 단순한 사과로는 부족하며, 기업이 두려워할 만큼의 법적 책임이 따라야 유사 사건이 반복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번 설문은 SK텔레콤 하나의 문제가 아니다. 국민은 모든 기업, 그리고 이를 방관한 제도권에 경고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실수에 관대하지 않다. 고의적 방치는 범죄다’라는 메시지가 설문 전체에 담겨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사태를 단순 사고로 축소하려 했지만, 국민은 이를 조직적 책임 회피와 은폐 시도로 판단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미지 관리가 아니다. 정확한 진상 규명, 전면적 피해 보상, 그리고 무엇보다도 진정성 있는 사과와 책임 이행이다. 국민은 보고 있다. 단지 사고가 아니라 그 이후의 태도를, 그리고 그 태도가 곧 기업의 신뢰도라는 사실을 SK텔레콤은 뼈저리게 깨달아야 한다.